정보공간_1

[6기 강북 이보희] 디지털 영상처리 - camera 편 본문

IT 놀이터/Elite Member Tech & Talk

[6기 강북 이보희] 디지털 영상처리 - camera 편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8. 5. 20:30

 

안녕하세요.

강북멤버십 22-1기 이보희입니다.

앞으로 디지털 영상처리에 대해 글을 올릴 예정인데요, 오늘은 카메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 과정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1. Image Acquisition Pipeline

 빛으로부터 픽셀데이터를 얻는 과정은 아래 그림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센서로 감지한 후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이 과정 중에서 몇가지를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과 관련된 더 상세한 내용은 P.E.Debevec and J. Malik - recovering high dynamic range radiance maps from photographs​ 논문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2. Lens

 카메라가 발명되기 이전부터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빛을 받아들여 촬영하는 사진기가 있었는데, 그것이 pinhole camera(바늘구멍 사진기) 입니다. 이 pinhole camera에는 한계가 있었는데


- 구멍이 크면 상이 흐려진다.

- 구멍을 작게하면 해상도가 좋아지지만, 빛의 양이 줄어든다.

- 회절로 인해 구멍을 일정 크기보다 더 줄이면 어두워질뿐만 아니라 흐려진다.


등 입니다. 이런 심각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나온 것이 렌즈로, 빛을 많이 받아들이면서 뚜렷한 상을 얻기 위하여 고안된 것입니다.

 렌즈를 사용하게 되면 빛이 필름에 맺히게 되는데, 모든 평행 광선은 초점 거리(f)에 위치하는 평면 상의 한 점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pinhole camera의 단점들을 보완하긴 했지만 렌즈를 사용한 카메라에서도 몇가지 단점들이 존재하는데요, 그 중에서 두가지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Vignetting

   비네팅이란 이미지 외곽부에 도달하는 광량이 중심부 광량보다 적은 광학적인 현상을 말합니다. 렌즈가 곡면의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외곽부에 도달하는 광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발생하는 것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사진의 외곽으로 갈수록 이미지가 어두워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Radial Distortion

  렌즈를 통과한 빛은 시작지점과 끝의 결과물이 같지 않습니다. 현실은 3차원인데 비해서 사진은 2차원이고, 렌즈는 구면인데 비해서 이미지가 맺히는 곳은 평면입니다. 중심에서 먼곳을 지나가는 광선은 좀 더 가까운 곳을 지나는 광선보다 좀 더 많이 휘어져서 지나가게 되고 왜곡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캘리브레이션 패턴과 openCV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사용되는 패턴인 체스판이 인쇄된 종이를 여러번 찰영 한 뒤, 카메라의 특징을 구하고 아래 함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정이 가능합니다.

static void cvCalibrateCamera2(
 IntPtr object_points, 
 IntPtr image_points, 
 IntPtr point_counts, 
 MCvSize image_size, 
 IntPtr intrinsic_matrix, 
 IntPtr distortion_coeffs, 
 IntPtr rotation_vectors, 
 IntPtr translation_vectors, 
 int flags 

)

A found chessboard  Distortion removal for File List​  

 왜곡 보정에 관한 간단한 예제는 OpenCV tutorial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docs.opencv.org/trunk/doc/tutorials/calib3d/camera_calibration/camera_calibration.html 

 

 

3. Image irradiance

 이미지 픽셀의 밝기는 어떤것의 영향을 받게 될까요? 아래 그림을 보면 빛이 물체 O에서 반사되어 이미지평면에 맺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 





 

 

여기서

  L : Scene radiance (Light source)

 

  E : Image irradiance​ (렌즈를 통해 O'에 맺히는 빛)

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위 수식으로 이미지의 밝기는 빛의 양과 비례하고, 조도는 렌즈의 면적에 비례하며, 렌즈와 이미지 평면과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식을 이용하면 sensor exposure 값은

 이 되고, final digital values 는 

 가 됩니다.

 

4.  처음에 보여드렸던 Image Acquisition Pipeline​으로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Reference 

- P.E.Debevec and J. Malik, recovering high dynamic range radiance maps from photographs, SIGGRAPH 97

- 위 글은 국민대학교 윤상민 교수님의 디지털영상처리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