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증강현실
- Friendship
- Bidirectional Associative Memory
- 나르왈프레오
- 신경망
- Neural Network
- 고려대학교
- 삼성소프트웨어멤버십
- 패턴 인식
- Python
- SSM
- hopfield network
- 물걸레자동세척로봇청소기
- 동아리
- 인공지능
- 물걸레로봇청소기추천
- 빅데이터
- 패턴인식
- 하이퍼바이저
- BAM
- 갤럭시탭S8울트라
- 삼성전자 소프트웨어멤버십 SSM
- 삼성
- 파이썬
- NarwalFreo
- Google App Engine
- 가상화
- 구글 앱 엔진
- 신경회로망
- 멤버십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88)
정보공간_1
안녕하세요. 엘리트멤버 6기 수원멤버십 23-1기 조성찬입니다. 이번 시간엔 전시간에 이어서 LED를 OFF하는 과정과 Delay 함수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 보도록 합시다.그럼 실제 소스 코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스코드가 전시간에 비해서는 좀 더 길어지고 딜레이 함수가 추가적으로 구현이 되어서 들어가 있습니다. 여전히 직접 주소 접근 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구현된 소스코드와 delay 함수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우선 이번에 새로 추가된 부분인 (* (volatile unsigned *) 0x40010C14) |= 0x200; (* (volatile unsigned *) 0x40010C10) |= 0x200;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레지스터 맵을 자세히 보시면 0x40010C10 과 0x40..
안녕하세요. 엘리트멤버 6기 수원멤버십 23-1기 조성찬입니다. 이전 포스트에서는 arm coretex-M3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와 구조를 알아 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선 arm coretex-M3를 이용해서 LED를 ON/OFF를 해보는 예제와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우선 왜 LED를 키고 끄느냐? 여기엔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배울 때 하는 "Hello world!" 출력예제와 비슷한 의미가 있습니다. MCU 컨트롤에서 가장 기초 단위인 GPIO관련 레지스터를 제어해 보면서 기본적으로 소스 코드에서 외부로의 출력을 테스트 해보는 의미가 있죠.그럼 실제 소스 코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굉장히 보기 어려운 코드가 있는데요. 우선 이 코드의 의미는 MCU의 레지스터를 직접 주소값으로 접근을 하..
#Intro 안녕하세요. 강북멤버십 23-2기 전영진입니다. 이번엔 리눅스 인터럽트 후반부 처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후반부 처리 후반부 처리의 역할: 인터럽트 핸들러가 처리하지 않은 모든 인터럽트 관련 처리를 수행. ( 최대한 많은 일을 후반부 처리로 덜어냄으로써 인터럽트 핸들러가 중단시킨 시스템 제어권을 가능한 빨리 돌려줄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인터럽트 핸들러가 직접 꼭 수행해야만 하는 몇 가지 일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럽트 핸들러는 하드웨어에 인터럽트를 수신했다는 사실을 알려야 됩니다. 데이터를 하드웨어에서 복사하거나 하드웨어로 복사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시간에 민감하기 때문에 인터럽트 핸들러에서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의 거의 모든 일은 후반부 처리가..
Data mining for Student...? 안녕하세요.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 엘리트 6기 김현호 입니다. 학교와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을 다니는 동안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관심이 매우 많아서 공부와 여러가지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직장인이 아닌 대학생의 입장에서 진행해본 프로젝트를 경험 삼아 이쪽 분야의 공부나 프로젝트를 진행 하시는데 도움이 되고자 이 글을 적어 봅니다. 우선 데이터 마이닝의 소개와 배경 지식을 알아보고 저의 주관적인 견해에서 접근해보는 프로젝트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키피디아에서는 데이터 마이닝을 데이터속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인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내는것 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마이닝은 통계학에서 다양한 계량 기법들을 사용합니다. 또한 패턴 인식에서 인..
안녕하십니까? 강북 멤버십 23-1기 윤덕진입니다. 앞부분에서 본 쉘의 문법과 구조를 알아봤다면 오늘은 배시 쉘 문법과 구조에 대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1. 배시 쉘의 시작 배시 쉘을 로그인 쉘로 사용한다면 쉘 프롬프트가 화면에 보여지기 전에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init . . getty ----->login->password--->bash 리눅스가 부팅되면 init이라는 첫 번째 프로세스가 생성됩니다. 이 때 이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ID는 1번이 됩니다. 그리고 자식 프로세스로 getty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이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터미널 포트를 오픈하고 모니터에 로그인 프롬프트를 보여줍니다. password 까지 입력이 끝나면 bash 프로세스는 /etc/profile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