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opfield network
- 하이퍼바이저
- Python
- 나르왈프레오
- 구글 앱 엔진
- 갤럭시탭S8울트라
- 삼성소프트웨어멤버십
- Bidirectional Associative Memory
- 가상화
- 삼성
- 파이썬
- 멤버십
- Friendship
- 물걸레로봇청소기추천
- NarwalFreo
- 고려대학교
- 패턴인식
- 빅데이터
- 증강현실
- 물걸레자동세척로봇청소기
- BAM
- 패턴 인식
- 동아리
- Google App Engine
- 신경회로망
- SSM
- 신경망
- Neural Network
- 삼성전자 소프트웨어멤버십 SSM
- 인공지능
- Today
- Total
목록All Posts (688)
정보공간_1
안녕하세요. 부산 삼성소프트웨어 멤버십 21-2기로 활동 중인 최은진 입니다. 제가 이번에 설명드릴 것은 Internet 프로토콜 중 하나인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에 관한 내용입니다. 실시간으로 비디오나 오디오 스트리밍을 하기 위해서는 RTP, RTCP, RTSP, SD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이 적용됩니다. 저는 이 프로토콜 중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로토콜인 RTP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는 주로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MP3나 H.264과 같은 표준화된 미디어 포맷이나 표준화 되지 않은 미디어 포맷 등 다양한 종류의 미..
흔히들 쉘 프로그래밍 하면 터미널에서 CUI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떠올리곤 합니다. 저 역시 쉘 프로그래밍하면 그러한 모습을 먼저 떠올리곤 합니다.^^ 하지만 쉘 프로그래밍 + dialog 유틸을 활용 하면 간단한 GUI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작성 할 수 있습니다 . 화려한 GUI를 제공 할 순 없지만, 간단한 프로토 타입을 작성 할 때 아주주 강력한 모습을 보여 준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쉘과 dialog 유틸을 이용해서 어떻게 GUI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쉘 프로그래밍 먼저 쉘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유닉스(또는 리눅스)에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부르는 용어이다. 쉘은 프로그래밍 계층에 있으면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어를 이해하고, 실행하는..
------------------------------------------------------------------------------------------------------------------------ 1. jQuery 를 이용한 javascript 코딩 지난 시간 JQM를 이용한 Mobile PR Web App 제작 에서 JQM를 이용한 모바일 페이지를 직접 구현해 보았습니다. JQM에서는 모바일 페이지를 위한 틀과 테마를 이미 제공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손쉽게 코드를 바꾸는 것 만으로도 쉽게 모바일 웹앱을 제작 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듯 웹에 있어 편리함을 주는 JQM의 핵심 코어에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다 시피 jQuery가 포함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난 번의 연장선으..
안녕하세요 광주멤버십 21-2기 박이근 입니다.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캐니 에지 (Canny Edge)에 이어서 RANSAC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합니다.Feature Extraction에는 약간 거리가있을 수 있으나일반적으로 SIFT나 SURF를 수행한 후 이미지 결합을 할 때 RANSAC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아는대로 적어 보려고 합니다.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이란 무엇일가요? RANdom Sample Consensus의 약자를 따서 만든 알고리즘입니다.Fischler와 Bolles에 의해서 제안된 RANSAC은 1981년 논문"Random Sample Consensus: A Paradigm for Model Fitting with Ap..
안녕하세요 강남 소프트웨어 멤버십 21-1기 권도일입니다. 이번 주제를 무엇으로 할까 고민하다가 잡은 주제가 안드로이드쪽입니다. 개인적으로 한번 만들어 보고 싶기도 하였고 그래서 결국 만들게 된 OnLocker라는 made by Kwon Doil의 Lockscreen에 대한 소개 및 구현에 필요한 간단한 기술적 이슈를 짚고 넘어 가보고자 합니다. 기술적으로 큰 이슈는 없지만 Contents적인 요소가 강한 Application임으로 부담없이 재미있게 유쾌하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LockScreen이라는 것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그리고 이해하고 있어야 할 2가지를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바로 BroadcastReceiver와 Service입니다.Broadcas..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도록 구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REST서버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의 정보를 체계적이고 간단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대표적인 SNS 서비스에서도 채택하고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에 접근하고, 이를 사용하는 것이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REST 서버를 쉽게 구축하도록 하는 Jersey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간단한 REST 서버를 구축해보겠습니다. 개발환경 준비 REST 서버 구축을 위해 다음 요소가 필요합니다. Eclipse EE (http://www.eclipse.org/downloads/) Jersey 라이브러리 (http://download.java.net/maven/2/com/sun/j..
안녕하세요? 엘리트멤버십 2기 이인표 입니다. 이번에는 지난번 증강현실의 기초 I에 이어서 내용이 진행될 것입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이론에 대한 내용이 주였다면 이번에는 실제로 그것을 적용시키는 방법을 다뤄볼까 합니다. 자 그럼 이제 시작합니다. 우선 우리는 OpenCV와 OpenGL을 사용하여 구현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OpenCV 2.4 설치 : http://openshareit.tistory.com/category/OpenCV (위의 블로그를 참조하세용~~~) 1. 마커에 대한 이해 마커는 평면기하를 표현하는 좋은 표식입니다. 보통 증강현실이라 하면, 아래와 같이 생긴 마커들을 사용하죠? [그림 1] 마커 예시 마커라는 것은 평면 기하의 정보를 함축하고 있죠... 스케일, 회전, 이동 등... ..
안녕하세요 광주 멤버십 21-1 박정태 입니다. 이번 블로깅 부터는 아두이노에 대해 소개 하려 합니다. 하드웨어의 전유물인 펌웨어 및 다양한 부가 적인 디바이스 사용을 모든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오픈 플랫폼으로 만든 프로젝트인 아두이노는 IT분야 부터 예술을 하는 사람들까지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분들도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디바이스 장치의 필요성을 느낄때가 있는데요 아두이노를 배워놓는다면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디바이스를 만들수 있답니다^^ 아두이노란? 아두이노(Arduino)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피지컬 컴퓨팅 플랫폼으로, AVR을 기반으로 한 보드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 환경(IDE)를 제공한다. 아두이노는 많은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PID 피드백 제어 시스템 1. PID 피드백 제어 시스템 자동제어 방식 가운데서 많이 이용되는 시스템으로는 PID 제어 시스템이 있다. PID란, P: Proportinal(비례), I:Integral(적분), D:Differential(미분) 3가지 Gain의 조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유연한 자동제어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PID 제어가 많이 쓰이기도 하지만 사용하는데 몇 가지의 고려사항이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일반 서적에서 PID 제어기를 설명할 때 선형적인 공간에서 제어기를 설명한다. 그러나 실제 적용이 되는 시스템은 현실적으로 선형적이지 못하고 비선형공간에서 제어기를 설계 해야 된다. 특히 수치적인 방법으로 각 Gain을 구하기(이러한 과정을 Tuning 이라 한다)위해서는 정확하고 많은 환경..
1. 시작하기 전에... 저번에 포스팅 Google App Engine 시작하기 를 이어 이야기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인 Django를 이용해서 개발하기 이전에 저번 포스팅의 마무리는 CGI방식으로 Google App Engine를 가동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그것보다 조금 더 발전된 방향은 WSGI를 이용해 개발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WSGI는 Web Server Gate Interface의 줄임말로써 PEP 333에 문서화되어 있습니다.WSGI는 Python에서 웹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레임워크간의 인터페이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시면 PEP333 문서를 읽어보시면 더 도움이 될것 입니다.2. WSGI로 개발 방법. eclipse..